(구)boymin
이전 포스팅들부터 해왔던 말이지만,나는 사회의 문제점들을 다루는 게임을 만드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해왔다. 이전에 언급한,Out Of Index 2017의 MOLOCH:ZERO와,중학교 3학년 때 본 강연이 그런 생각을 들게 한 계기였다. 그래서, 그런 생각을 담아서불편한 강아지를 만들었다. 그리곤, 또 다른 문제점을 위한 게임을 생각해보았고,이 Blind라는 게임을 구상하게 되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이 게임은 장님의 생활을 체험해보는 게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앞이 보이는 것을 당연시 여기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세상에는 앞을 볼 수 없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앞이 보이는 사람들은 어쩌면 평생을 가도 느끼지 못할 감정들을장님들은 평생을 느끼며 살아갈수도 있는 법이다. 나는, 내가 만든..
얼마 전, 방과 후 시간에 제작한 게임(?)이다. 2017년 7월의 Out Of Index라는 전시회에서 MOLOCH - ZERO 라는 게임을 한 이후부터,특정 사회적 문제를 지적하고, 고발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며 사람들의 감정을 들었다 놨다 하는 그런 게임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이번 수업에서 그 생각을 실현해 보기로 했었다.주제는 '행복'. 생각의 처음 3가지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였다. '불편한 강아지'. 제목부터 조금 특이한 이 게임은, 유기견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함을 목표로 한 게임이다. 집에서 강아지를 키우는 만큼, 예전에 보았던 유기견 관련 다큐멘터리는 내게 큰 슬픔으로 다가왔었다. 사랑하는그 어떠한 것이라도 함께 살아가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했던 나는,강아지에겐 ..
지난번 지2의 중력장 프로그램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했듯이,3학년이 되면서 물2와 지2를 고르게 되었다. 물2를 처음 골라 수업을 들을 때 들었던 생각은,'아, 괜히 골랐다...f-word'였다. 물1에서의 공식들은 대부분'특정 조건'을 걸고 제한된 범위에서 추려낸 공식의 느낌 이었다면,물2에서는 이런 특정 조건들을 하나하나 풀어가며 공식을 점차 넓혀가는 느낌이었다. 그러다보니 이해해야할 내용과 공식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갔고,대부분의 아이들이 그러했듯 나도 물2를 거의 놓다싶이 하였다.(그치만 애들이 다 점수가 낮아서 조금밖에 공부를 안했음에도 2등급을 받았다...ㅋ) 특히나 열역학 부분은,물1 끝부분에 나왔었는데,2학년 당시 기말고사 범위 밖이라 아예 공부를 안했었다. 그래서 다른 부분들은 물1에서 어..